‘2022 사회안전지수' 경제활동 부문 전국 1위
무상교통제 수도권 “유일‘... 탄소배출 저감책도

"화성시가 살기 좋은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서철모 화성시장. (사진=화성시청)
"화성시가 살기 좋은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서철모 화성시장. (사진=화성시청)

(파이낸스뉴스=김민주 기자) 살기 좋은 지역 기준이 되는 다양한 요소 가운데 ‘경제활동’이 중요하게 꼽힌다. 삶의 질이 경제적인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최근 경기도가 서울을 제치고 최대 규모의 인구를 자랑하면서 경기도로 젊은층 중심으로 사람이 몰리고 있다. 그 이유는 치솟는 서울의 집값에 기인하는 면도 있지만 그동안 서울의 변방이라는 인식 속에 묻혀 있었던 경기도가 용틀임을 하고 있어서다. 속속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산업 경제 기반이 갖춰지고 있다.

◇ 서울 강남구보다 ‘경제활동’ 전국 최고

경기도 중에서도 화성시가 살기 좋은 지역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바로 경제활동이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활성화 되어 있다는 인식이 신진 세대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심지어 화성시는 경제활동 면에서 부촌으로 알려진 서울 강남구를 앞서 전국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머니투데이가 전문 여론 분석기관들(성신여대 데이터사이언스센터·케이스탯 공공사회정책연구소·온라인패널 조사기업 피앰아이)과 공동조사한 ‘2022 사회안전지수(Korea Security Index 2022)'에서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조사에서 경제활동 부문의 주요 정량지표인 소득, 복지, 고용, 노후 세부영역에서 고루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성시가 경제활동 차원 점수에서는 66.83점으로 서울 강남구(64.99점)을 누르고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소득영역에서는 78.47점을 받아 성남시(74.04점)와 수원시(73.08점)를 제치고 경기도 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차지했다.

이것은 화성시에 동탄 신도시를 중심으로 최대 규모 테크노밸리 같은 첨단 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고용창출과 소득 증대에 기여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런 산업기반은 스타트업이나 중견기업이 터를 잡으면서 지역경제의 활력을 생성시켰다.

대중교통 합리화에 역점을 두고 있는 화성시 시청 전경. (사진=화성시청)
대중교통 합리화에 역점을 두고 있는 화성시 시청 전경. (사진=화성시청)

◇ 인구밀도 산개...대중교통 합리화 역점

화성시가 살기 좋은 도시로 거듭나게 된 것은 동탄신도시가 들어서면서부터다. 동탄 1·2 신도시, 향남·봉담·남양 택지지구, 송산그린시티로의 대규모 인구 전입은 기존 농업과 수산업 중심 지역 토착인구에 더해 일약 89만명(2021년 12월 기준)의 거대 도농복합도시로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다. 20년 전 대비 인구는 4.7배, 세출 예산은 17배 증가해 3조5,000억원 규모다.

화성시 면적은 844km²로 서울시보다 1.4배 넓다. 지형은 동서로 광활하게 퍼져있어 인구 밀도가 높은 동탄 지역을 제외하고는 주거지가 산개 분포된 형상이다. 이러한 지리적·인구분포적 특징으로 인해 시민들이 주거환경에서 불편해 하는 것이 대중교통 체계의 미흡이다.

화성시의 대중교통편의 핵심이 되는 버스 수송분담률은 15%에 불과하다. 인구 규모가 유사한 타 지자체에 비하면 15% 이상 낮다.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고는 지역 내 이동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화성시는 대중교통의 합리화에 역점을 쏟아왔다. 인구 밀집지역과 거리가 멀수록 대중교통 여건이 취약하고, 저소득층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지적됐기 때문이다.

수도권에서는 유일하게 무상교통 정책을 수립해 시행하는 화성시의 서철모 시장.  (사진=화성시청)
수도권에서는 유일하게 무상교통 정책을 수립해 시행하는 화성시의 서철모 시장. (사진=화성시청)

◇ ‘무상교통제도’ 도입...시민 30% 혜택

이에 시는 주민의 자유로운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수도권에서는 유일하게 무상교통 정책을 수립해 적극 시행했다. 이 정책은 저소득층의 교통비 부담을 줄여줘 가처분소득이 늘었으며 소득 양극화를 완화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계기가 됐다.

무상교통제도는 우선 2020년 11월부터 만 7세부터 18세 이하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도입했다. 그 후 지난해 7월부터 65세 이상 어르신에 이어 10월부터는 만 23세 이하 청년까지 대상을 확대했다.

무상교통 정책 시행에 대해 시민들은 적극 환영했다. 지난해 11월 시행 1주년을 맞아 아동·청소년 이용자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86.7%가 ‘만족하다’고 응답했다.

이런 성과에 힘입어 화성시는 오늘(3월 1일)부터 현재 추진 중인 무상교통 지원 대상에 만 6세 아동을 포함하기로 했다. 그동안 만 6세 아동은 교통요금 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여 혜택을 받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날 0시 기준 만 6세 아동 1만2,000여명이 무상교통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그동안 만 6세 아동은 시내버스 운송사업 약관에 따른 무임승차 대상(만 5세 이하)은 물론 화성시 무상교통 혜택 대상에서도 제외돼 왔다.

이번에 6세 아동까지 확대되면서 화성시민 30%(25만여명)가 무상교통 혜택을 받게 됐다. 화성시는 2021년 1월부터 11월 무상교통 이용분 지급액은 약 28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지속가능 성장 바탕으로 혁신적 미래형 녹색도시 비전을 역설하는 서철모 시장.  (사진=화성시청)
지속가능 성장 바탕으로 혁신적 미래형 녹색도시 비전을 역설하는 서철모 시장. (사진=화성시청)

◇ 대중교통편 확충...‘탄소중립’에 기여

서철모 화성시장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교통비가 줄게 되어 다른 곳에 지출되는 선순환 체계가 구축됐다”며 “특히 쇼핑이나 여가활동 지출이 33.1%로 크게 늘어나 무상교통 시행 관련 연간 약 86억원의 편익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화성시는 대중교통편에 대한 접근성이 높지 않으면 문화체육·여가시설을 확충하더라도 이용률이 낮을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다. 이에 대중교통 분담률을 25%까지 높이고, 단계적으로 친환경 버스를 포함해 공공버스를 1100대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장기적으로 친환경 버스로 전환하면 탄소배출량도 크게 줄어 들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화성시의 무상교통 정책을 소개하기도 했다.

한편, 화성시는 대중교툥편을 확충해 궁극적으로 자가용 이용률을 낮춰 탄소중립(Net Zero)과 기후변화 대응에도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부대사업도 적극적으로 펼쳐나간다.

시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노후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과 대기오염 방지시설 교체나 개선을 보조해주는 ‘소규모 사업장 대기오염 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을 병행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2019년부터는 친환경자동차인 수소전기자동차 보급사업도 추진해 수소전기자동차 구매자에 대해서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보조금을 지원했다. 최근 3년간 총 756대를 보급했고, 2022년 보조물량은 498대로 2021년 대비 123대를 추가 보급할 계획이다.

화성시의 도시경쟁력은 지자체 종합 5년 연속 전국 1위, 재정자립도는 기초지자체 2위로 각종 대외 평가에서 전국 최고의 도시로 인정받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화성시는 앞으로 ‘친환경 공공교통’ 체계를 더 한층 강화시켜 나갈 방침이다.

철도 중심으로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높이고 지역 간 이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친환경 교통수단이 감당하도록 시스템 전환을 모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미래형 녹색도시로 탈바꿈한다는 비전이다.

Copyright © 파이낸스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