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로봇개발 선두...4차 산업혁명 주도 '정책 지원'
韓, 로봇사업 ..."더 속도감 있는 정부 지원책 절실"

국내 대기업들이 미래 신수종사업으로 '로봇'을 지정해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 ⓒ FN DB
국내 대기업들이 미래 신수종사업으로 '로봇'을 지정해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 ⓒ FN DB

[파이낸스뉴스=장수아 기자] 국내 대기업들이 미래 먹거리로 '로봇 개발'에 전력투구하는 가운데 정부의 정책 지원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다 중국은 로봇으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해 나가겠다는 기치 아래 저가 로봇을 앞세워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지금대로라면  로봇을 앞세워 미래 산업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중국이나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미국 등 미래 성장 동력에서 한국이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중국 정부는 로봇 산업 분야에 전폭적인 지원을 쏟고 있어 군수용·산업용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은 모든 산업 분야에 로봇을 도입해 2025년까지 산업 전반에 인력이 필요없는 수준까지 자동화 시킨다는 계획이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현대차·LG전자 등 한국을 대표하는 대기업들이 로봇 사업을 잇달아 미래 신수종사업으로 선정해 개발 경쟁에 팔을 걷어 부쳤다. 그러나 정부는 아직까지 개별 로봇 제품들에 대한 안전·기술 표준 마련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달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에서 로봇 사업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밝혔다. 지난해 말 기존 로봇사업화 태스크포스(TF)팀을 ‘로봇사업팀’으로 개편해 인력을 대거 확충하고, ‘삼성 봇’ 시리즈와 보행 보조 로봇 ‘젬스(GEMS)’ 등 다양한 로봇을 개발해 선보였다.

현대차는 최근 가장 역동적으로 로봇 사업의 보폭을 넓히고 있다. 2019년 로봇 사업 전담 로보틱스랩을 배치하고 2020년에는 소프트뱅크로부터 미국 로봇 전문기업인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하고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인 ‘벡스(VEX)’와 ‘첵스(CEX)’ 등을 개발해 자체 공장에 투입하기도 했다.

LG전자도 로봇을 미래 주력사업으로 지정해 로봇사업담당을 주축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캐나다의 레다테크, 미국의 차량용 AI 센서 기업 에이아이 및 보사노바로보틱스, 국내 모빌리티 서비스 기업 코드24 등에 지분을 투자 했다. 2018년에는 산업용 로봇제조 업체 로보스타도 인수했다.

대기업 로봇사업 현황.  / ⓒ 산업통상자원부
대기업 로봇사업 현황. / ⓒ 산업통상자원부

이처럼 로봇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업들과는 달리 정부의 대응은 미온적이다. 우선 속속 개발되고 있는 로봇 제품들의 성능이나 안전성을 담보할 규격이나 인증 등의 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다. 

로봇의 기능이 의료·생활보조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와 관련돼 소관 행정부처도 각기 달라 일관된 규정 자체가 없다. 이에 따라 제품의 기준 및 인증에 대해 표준화된 제도가 정착돼 있지 않아 사업의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국내 로봇 시장의 제도가 미흡한 틈을 타 외국산 저가의 저품질 로봇이 대량으로 들어올 경우 중국 등 해외 기업들이 국내 시장의 주도권을 장악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중국 로봇이 무분별하게 들어오는 상황에서 정부가 각종 안전기준을 마련해 주고, 국내 로봇 기업들이 그 표준에 맞춰 생산해  경쟁력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이 같은 현황을 파악해 규제 혁신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4월 정부는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을 발표하고, 33개의 규제혁신 과제를 수립해 3단계에 걸쳐 해결에 나서고 있다. 

올해는 실증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개별 로봇 산업별로 운영·허가기준 마련, 개인 정보 보호 가이드 구축 등을 추진한다. 이에 업계에서는 중국의 발빠른 행보에 맞서 보다 더 속도감 있는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Copyright © 파이낸스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