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 형태

이인권 선임기자/미디어콘텐터
이인권 선임기자/미디어콘텐터

[파이낸스뉴스=이인권 미디어콘텐터] 사람들은 흔히 창의성을 완전히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즉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처럼.

그러나 창의성은 이미 있던 것들을 새롭게 조합하고 연결하여 새로운 것으로 찾아내는 거다.

사소한 것이라도 관점을 달리하는 것이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서로 관련 없던 생각이나 착상들을 연계시켜 새로운 의미의 시너지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그것은 보는 각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습관화되고 고정화된 시각이나 관점에서 벗어나 다른 각도에서 사물을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것이다.

여름날 한바탕 소나기가 쏟아지고 난 후 햇살이 비추면 먼 산등성 위로 일곱 가지 색깔의 아름다운 무지개가 뜬다. 그 무지개는 우리의 눈에는 반원형으로 보인다. 무지개를 우리 눈에 들어오는 반원형으로만 보는 것이 바로 고정관념이다.

그러나 실제로 무지개의 모습은 완전한 원형이다. 비행기 조종사들이 하늘에서 보는 무지개는 그대로 동그란 원형이다. 이처럼 무지개도 땅에서 보는 것과 하늘에서 보는 것이 각각 다르다. 보는 위치에 따라 무지개 형태가 다른 것이다.

땅에서 보면 무지개가 반원형이지만 그게 완전 원형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 바로 창의성이다. 높이 멀리서 바라보면 무지개가 전혀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생각의 우리'를 깨고 사고의 유연성을 갖는 것이 창의적인 것이다.

360도의 생각

생각을 달리한 강철 왕 카네기에 관한 일화다.

카네기는 직원 채용시험에서 포장된 물건의 끈을 푸는 문제를 냈다. 시험이 끝난 뒤 카네기는 포장된 끈을 손으로 차근차근 꼼꼼하게 푼 사람은 불합격시켰다.

그 대신 고정 관념을 깨고 생각을 바꿔 칼로 단번에 잘라 낸 사람들을 합격시켰다. 카네기는 채용 시험에 응시한 사람들의 지식보다는 지혜, 즉 사고의 유연성을 테스트해 본 것이다.

창의성은 특별한 사람에게만 있는 게 아니다. 창의력은 태생적으로 갖게 되는 것도 아니다. 단순히 마음을 활짝 열어젖히고 항상 탐구적이고 호기심을 갖으며 다각적으로 생각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면 된다. 사람들의 고개는 180도 밖에 돌지 않는다. 그러나 인간의 사고는 360도 한 바퀴를 돌릴 수 있다. 이렇듯 사고를 바꾸면 세상이 달리 보인다. 그게 창의성이다. 창의성은 배우고 개발하여 얻어지는 사고의 습관이다.

에디슨이 말한 대로 1%의 영감에 99%의 땀을 흘려 훈련하면 된다. 창의성은 사람에게 계발되지 않은 채 잠자고 있는 70~80% 잠재의식에서 발현되는 두뇌의 힘이다.

말이야 쉽지만 창의적인 사람이 된다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일반 사람들보다 창의적이다. 그렇기에 모두가 성공을 하는 것은 아니다.

Copyright © 파이낸스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