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 직장인들 대거 창업시장 유입...“시대조류 반영”
- 창업 동기...‘자신만의 사업 경영하고 싶어서’(64.1%)
- 한국 노동 시장,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 매우 높아

젊은층들이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창업에 나서 소상공인 사업의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 흔히 직장인들이 '자기 사업'을 하는 게 꿈이라고 해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겼던 창업 열풍이 2030 젊은 세대로 옮겨가는 추세다.

'젊은 사장님'들이 늘고 있는 것은 시대 조류와도 맞물려 있다. 중장년층보다 디지털 문해력(literacy·리터러시)이 높은 신세대들은 위계 조직에 적응하기 보다는 자신의 '일'을 찾아 창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짙다.

한요셉 한국개발연구원(KDI) 노동시장연구팀장은 “(젊은층들은) 창업을 하나의 기회로 여기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수평적인 사회문화체계와 가속하는 디지털 전환이 젊은층에게는 유리한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는 취업난이 심각한 데다 높아진 생활 수준과 미래 장수시대를 대비해 안정적인 재정적 바탕을 갖추는 데 사업이 유리하다는 판단도 한 몫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통계청은 27일 '2022년 소상공인실태조사 결과(잠정)'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에 종사하는 사람은 714만3천명으로 전년보다 0.9%(6만1천명) 줄었다. 2021년 7만명(1.0%) 줄어든 데 이어 2년째 감소세를 나타냈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이는 무인화·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종사자 수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종별로 보면 종사자 수는 도소매업(-2.9%), 제조업(-1.3%) 등에서 감소했다.

하지만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412만5천개로 0.2%(7천개) 늘었다. 이를 대표자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3.1%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뒤를 이어 20대 이하(1.6%), 40대(0.1%) 순이었다. 반면 60대 이상(-1.5%)과 50대(-0.4%) 등에서는 줄었다.

이같은 통계에서 보듯, 젊은 2030 사장이 늘어 ‘개인 사업'이 전성시대를 맞으면서 청년층들의 창업 도전이 뚜렷해지고 있다. 창업 동기를 보면 '자신만의 사업을 경영하고 싶어서'(64.1%), '수입이 더 많을 것 같아서'(28.9%), '임금근로자로 취업이 어려워서'(5.4%) 순으로 많았다. '임금근로자로 취업이 어려워서'의 비중은 1년 전보다 1.1%포인트 높아졌다.

사업체당 창업 비용은 8천5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4.0%(400만원) 줄었으며, 사업체당 본인 부담금도 6천400만원으로 3.6%(200만원) 감소했다. 창업 비용이 많이 든 부문으론 예술·스포츠·여가업(1억5천800만원), 제조업(1억2천200만원), 숙박·음식점업(1억800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전체 소상공인의 영업이익은 1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사업체당 매출액이 2억3천400만원으로 4.0%(900만원) 늘면서 영업이익도 3천100만원으로 0.1%(300만원) 증가했다.

창업박람회의 모습. 기사 내용과 직접적 연관이 없음.  (사진=연합뉴스)
창업박람회의 모습. 기사 내용과 직접적 연관이 없음.  (사진=연합뉴스)

하지만 고금리·고물가 등의 영향으로 평균 부채도 1억8천5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6%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 애로사항(복수 응답)으로는 경쟁 심화(46.6%), 원재료비(39.6%), 상권쇠퇴(37.7%) 순으로 많이 꼽았다.

창업 시장에 2030 젊은층이 대거 유입되면서 경쟁도 더욱 심화돼 안정적인 사업체 운영이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 자영업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른 만큼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젊은 사장님'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하는 상황이다. 

이같은 배경으로 한국의 노동 시장 구조에서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점이 꼽힌다. 한국의 자영업자 비중은 과거보다 줄어드는 추세지만 OECD 회원국들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에 달한다.

은퇴자들이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 창업에 내몰리는 가운데 젊은층들마저 창업전선에 뛰어 들고 있어, 이에 대한 노동시장의 재편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Copyright © 파이낸스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