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33개 회원국과 5개 비회원국 대상 평가
‘2023 공공데이터 평가’서도 4회 연속으로 1위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제2테크노밸리기업지원허브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일곱번째, 상생의 디지털, 국민권익 보호'에서 고진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의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제2테크노밸리기업지원허브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일곱번째, 상생의 디지털, 국민권익 보호'에서 고진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의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실시하는 '2023년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2회 연속 종합 1위를 기록했다.  

행정안전부는 30일 한국은 2019년에 디지털정부 평가 1위를 달성한 데 이어 올해 2차 평가에서도 1위에 올라 2회 연속 종합 1위의 영광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OECD는 2019년 처음으로 회원국들의 정부·공공부문 디지털전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정부 평가를 했고, 이후 4년 만인 2023년 두 번째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OECD는 2023년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33개 회원국과 5개 비회원국을 대상으로 6개 부문에 대해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 우리나라 디지털정부는 0.935점(1점 만점)을 받아 2019년 0.742점보다 0.193점이 올랐다.

지난 1회 평가에서 한국(1위, 0.742)과 영국(2위, 0.736점)의 점수 격차는 0.006점이었다. 하지만 이번 평가에서는 한국(1위, 0.935점)과 덴마크(2위, 0.811점)는 0.124점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한국과 덴마크에 이어 영국, 노르웨이, 호주, 에스토니아, 콜롬비아, 아일랜드, 프랑스, 캐나다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2019년 상위 10위를 차지한 나라 중 2023년에도 상위 10위 안에 포함된 국가는 총 6개 국가였다. 당시 아시아 국가로는 한국과 일본(5위) 2개였으나, 2023년에는 1위를 차지한 한국이 유일했다.

제2차 OECD 디지털정부평가 한국 부문별 순위. (자료=행정안전부)
제2차 OECD 디지털정부평가 한국 부문별 순위. (자료=행정안전부)

6개 평가 부문을 보면 △디지털 우선 정부 △데이터 기반 정부 △ 플랫폼 정부 △ 개방형 정부 △ 국민 주도형 정부 △ 선제적 정부다.

한국은 6개 부문 중 '데이터 기반 정부', '플랫폼 정부', '개방형 정부', '선제적 정부' 등 4개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다. '디지털 우선 정부', '국민 주도형 정부'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정책 과정 전반에 걸친 데이터 활용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 수준을 측정하는 부문인 '데이터 기반 정부'에서는 OECD 평균 0.633점에 비해 1점 만점을 받았다.

행정·공공기관이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는 기반 등을 마련한 '데이터기반행정법'을 통과시키고, 행정기관 간 데이터 통합 플랫폼인 '데이터통합관리플랫폼'을 구축한 것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국민 수요를 사전에 예측,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선제적 정부' 부문에서는 OECD 평균 0.567보다 월등히 높은 0.934점을 받았다.

행정안전부는 앞으로도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국민 구비서류 제로화' 등을 추진, 정부 서비스를 디지털에 기반해 재설계 및 전환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은 OECD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3 공공데이터 평가' 결과에서도 2015년, 2017년, 2019년에 이어 2023년까지 4회 연속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한국이 디지털정부 분야에서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과 정부, 기업 모두가 노력한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만들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파이낸스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