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롯데·신세계 등 회장들 보수...등기 대표의 ‘갑절’
이재현 CJ회장, 3개사에서 2022년 한해 221억 최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내 10대 대기업집단 총수 10명 가운데 6명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면서도 경영에는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10대 대기업집단(삼성, SK, 현대차, LG, 롯데, 한화, GS, HD 현대, 신세계, CJ) 중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등 6명은 미등기 임원으로 계열사에 등재돼 있었다.

이들 가운데 2022년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미등기 임원으로 등재된 회사에서 보수를 받은 총수는 이재현 회장, 신동빈 회장, 이명희 회장, 김승연 회장 등 4명이었다. 이들이 받은 보수는 2022년 연간 총 35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 중 CJ와 CJ CGV, CJ ENM, CJ 대한통운, CJ 제일제당 등 5개 회사에 미등기 임원으로 등재돼 있는 이재현 회장이 가장 많은 보수를 가져갔다. CJ와 CJ ENM, CJ제일제당 등 3곳의 회사에서 1년 동안 지급한 보수는 221억4천만원가량이었다. 

같은 기간 다른 3사 대표이사들이 받은 보수 총액은 78억9천만원으로 미등기 임원인 이재현 회장이 등기 대표이사들보다 3배 가까이 많은 보수를 가져갔다. 

신동빈 회장도 롯데물산과 롯데쇼핑, 호텔롯데 등 미등기 임원으로 등재된 3곳의 회사에서 52억5천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명희 회장은 신세계와 이마트에서 46억8천만원을, 김승연 회장은 한화에서 36억원을 각각 미등기 임원 보수로 수령했다. 

2022년 총수들이 미등기 임원으로서 받은 보수를 합치면 356억7천만원이었다. 이는 같은 기간 이사회 등기 대표이사 중 보수 총액이 가장 높은 1명을 기준으로 해서 지급된 보수의 총액인 175억8천만원보다 2배 정도 높은 수준이었다. 

경영상의 의무와 책임을 부담해야 하는 등기 임원보다 미등기 임원이 오히려 더 많은 보수를 챙겨가는 것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여기에 총수 2세 중 일부도 미등기 임원으로서 경영에 참여하며 보수를 챙겨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0대 그룹 중 계열사에 미등기 임원으로 등재된 총수 2세는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전략본부장, 김동원 한화생명보험 최고글로벌책임자, 신유열 롯데케미칼 신사업담당, 정기선 HD 현대중공업 사장,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 정용진 이마트 총괄부회장, 이경후 CJ ENM 브랜드전략실장, 이선호 CJ 제일제당 식품성장추진실장, 허윤홍 GS건설 사장 등이었다.

이 중 2022년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보수를 받은 사람은 정용진 부회장(36억2천만원), 정유경 사장(35억1천만원), 김동원 최고글로벌책임자(10억8천만원) 등 3명이었다.

다만 미등기임원의 경우 5억원 이상을 보수로 받은 사람 중 상위 5명만 사업보고서에 공개돼 있어 실제 보수를 받은 총수와 2세는 이보다 더 많을 수도 있다.

한편 총수가 있는 64개 공시대상기업집단 계열사 2천602곳 중 총수일가가 1명 이상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한 회사의 비율은 136곳(5.2%)이었다. 총수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의 비율은 비상장사(3.3%) 보다 상장사(20.6%)가 약 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Copyright © 파이낸스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